전태련교육학 스킵네비게이션

태련쌤 자료실

[인문소양교육] 명심보감 -4. 효행편(孝行篇)
  • 작성자
    더쌤운영자(webm*****)
  • 작성일
    2015-09-14 13:32:44
  • 조회수
    922

명심보감 – 4. 효행편(孝行篇)
 
-------------------------------------------------------
 
時曰 父兮生我 母兮鞠我 哀哀父母 (시왈 부혜생아 모혜국아 애애부모)
 
生我劬勞 欲報深恩 昊天罔極 (생아구로 욕보심은 호천망극)
 
시경(時經)에 이르기를 “ 아버님 나를 낳으시고 어머님이 나를 기르시니, 아아 슬프다, 어버이시여!
나를 낳아 키우시느라 수고하셨도다. 깊은 은혜 갚고자 하나 하늘 같아서 끝이 없어라.” 하였다.
 
---------------------------------------------------------
 
子曰 孝子之事親也 居則致其敬 養則致其樂 (자왈 효자지사친야 거즉치기경 양즉치기낙) 
 
病則致其憂 喪則致其哀 祭則致其嚴 (병즉치기우 상즉치기애 제즉치기엄)
 
공자께서 말씀하길, “효자가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서는 기거함에 공경하기를 다하고, 봉양함에 그 즐거움을 다하고,
병환에는 그 근심을 다하고, 상을 당하면 그 슬픔을 다하고, 제사지냄에 있어서는 그 엄숙함을 다한다.”
 
----------------------------------------------------------
 
子曰 父命召 唯而不諾 食在口則吐之 (자왈 부명소 유이불낙 식재구즉토지)
 
공자가 말씀하길, “부모님께서 명하여 부르거든 네! 하고 속히 대답하고 늦게 대답하지 말며, 음식이 입에 있거든 뱉고 답할 것이다.” 하였다.
 
---------------------------------------------------------
 
太公曰 孝於親 子亦孝之 身旣不孝 子何孝焉 (태공왈 효어친 자역효지 신기불효 자하효언)
 
태공이 말하길 “내가 어버이에게 효도하면 자식 또한 나에게 효도하리니 자신이 이미 불효하면 자식이 어찌 효도하리요?” 하였다.
 
--------------------------------------------------------
 
孝順 還生孝順子 忤逆 還生忤逆子 (효순 환생효순자 오역 환생오역자)
 
不信 但看簷頭水 點點滴滴不差移 (불신 단간첨두수 점점적적불차이)
 
효성스럽고 순종하는 사람은 다시 효성스럽고 공손한 자식을 낳고,
부모에게 거역하는 사람은 다시 부모에게 거역하는 아들을 낳는다.
믿을 수 없거든 다만 지붕 처마 끝에 떨어지는 물방울을 보라. 점점이 방울져 떨어지되 어긋남이 없느니라. 

댓글운영정책
다음에 해당하는 내용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특정인의 개인정보(실명, 상호명, 사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를 포함한 글
  •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글
  • 상업적인 광고, 욕설, 음란한 표현 또는 반복적인 동일한 내용의 글
  •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동영상 등)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위배되는 글
댓글 운영정책에 어긋나는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등록 해보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