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련교육학 스킵네비게이션

태련쌤 자료실

[인문소양교육] 명심보감 -11. 성심편(省心篇) 상①
  • 작성자
    더쌤운영자(webm*****)
  • 작성일
    2015-09-24 09:14:56
  • 조회수
    1052

명심보감 – 11. 성심편(省心篇) 상① 

 

* 사람은 항상 자신의 마음을 성찰해서 행실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내용
 
-----------------------------------------------------
 
景行錄云  寶貨   用之有盡   忠孝  享之無窮

경행록운  보화   용지유진   충효  향지무궁
 
<경행록>에 이르기를,
“보화는 쓰면 다함이 있을 것이나,
충효는 누려도 다함이 없다.” 하였다.
 
----------------------------------------------------- 
 
家和賓也好    不誼富如何   但存一子孝   何用子孫多
가화빈야호    불의부여하    단존일자효  하용자손다
 
집안이 화목하면 가난해도 좋지만 정의가 좋지 않으면 부유한 들 무엇하랴. 단 한 명의 효자만 있으면, 굳이 자손이 많을 필요가 있겠는가.
 
--------------------------------------------------
 
父不憂心  因子孝  夫無煩惱  是妻賢
부불우심  인자효  부무번뇌  시처현
 
言多語失  皆因酒   義斷親疎   只爲錢
언다어실  개인주   의단친소   지위전
 
아버지가 마음에 근심이 없는 것은 자식이 효도하기 때문이고,
남편에게 번뇌가 없음은 아내가 어질기 때문이다.
말이 많아 실언하는 것은 모두 술 때문이고,
의리가 끊어지고 친분이 멀어지는 것은 오로지 돈 때문이다.
 

----------------------------------------------------
 
旣取非常樂  須防不測憂
기취비상락  수방불측우
 
이미 몹시 큰 즐거움을 취했거든
반드시 헤아릴 수 없는 근심을 방비해야 하느니라.
 
-----------------------------------------------------
 
得寵思辱  居安慮危
득총사욕  거안려위
 
총애를 받을 때 욕이 돌아올 것을 생각하고,
편안하게 살 때 위태로움을 염려해야 한다.
 
----------------------------------------------------
 
榮輕辱淺  利重害深
영경욕천  이중해심
 
영화가 가벼우면 욕됨도 얕고,
이득이 중하면 해로움도 깊다.
 
-------------------------------------------------
 
甚愛必甚費  甚譽必甚毀
심애필심비  심예필심훼
 
甚喜必甚憂  甚藏必甚亡
심희필심우  심장필심망
 
너무 아끼면 반드시 심히 허비하게 되고
너무 칭찬하며 반드시 심히 헐뜯게 되고,
너무 기뻐하면 반드시 심히 근심하게 되고,
너무 감추고 쌓아두기만 하면 반드시 심하게 잃어버리게 되느니라.
 
----------------------------------------------------
 
子曰  不觀高崖  何以知顚墜之患
자왈  불관고애  하이지전추지환
 
不臨深泉  何以知沒溺之患
불임심천  하이지몰익지환
 
不觀巨海  何以知風波之患
불관거해  하이지풍파지환
 
공자께서 말씀하길,

“높은 절벽을 보지 않으면 어떻게 굴러 떨어지는 환란을 알며,

깊은 연못에 가지 않고서야 어찌 빠져 죽는 위험을 알 것이며,

큰 바다를 보지 않고서야 어찌 풍랑의 위험을 알 것인가.” 라고 하였다.
 
---------------------------------------------------
 
欲知未來  先察已然
욕지미래  선찰이연
 
미래를 알려거든 먼저 지나간 일을 살펴보라.
 
---------------------------------------------------
 
子曰  明鏡  所以察形  往古  所以知今
자왈  명경  소이찰형  왕고  소이지금
 
공자께서 말씀하길, “밝은 거울은 형체를 살피는 도구요, 지난 일은 현대를 아는 도구이니라.” 하셨다.
 
-----------------------------------------------------
 
過去事  如明鏡  未來事   暗似漆
과거사  여명경  미래사   암사칠
 
과거의 일은 밝은 거울과 같고,
미래의 일은 칠흑처럼 어두워 알기가 어렵다.
 
----------------------------------------------------
 
景行錄云   明朝之事   薄暮不可必    

경행록운   명조지사   박모불가필

薄暮之事   晡時不可必
박모지사   포시불가필
 
<경행록>에 이르기를

“내일 아침의 일을 오늘 저녁에 기필할 수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고,

저녁의 일을 오후(포시)에 기필할 수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다.”
 

---------------------------------------------------
 
天有不測風雨   人有朝夕禍福
천유불측풍우   인유조석화복
 
하늘에는 예측할 수 없는 비바람이 몰아치고,
사람에게는 아침저녁으로 복이 닥쳐온다.

 

-------------------------------------------------------
 
景行錄云   木有所養   則根本固   而枝葉茂   棟樑之材成
경행록운   목유소양   즉근본고   이지엽무   동량지재성
 
水有所養   則泉源壯而流派長   灌漑之利博
수유소양   즉천원장이유파장   관개지리박
 
人有所養   則志氣大   而識見明   忠義之士出   可不養哉
인유소양   즉지기대   이식견명   충의지사출   가불양재
 
<경행록>에 이르기를,
“나무를 잘 기르면 뿌리가 굳고 가지와 잎이 무성하여 기둥이나 대들보의 재목을 이루고,
물을 잘 가꾸면, 샘의 원천이 장대하고 물줄기가 길어져서 관개의 이로움이 크다.
사람을 잘 키우면 의지와 기개가 크고 식견이 밝아져서 충의를 지키는 선비가 나오므로 어찌 잘 키우지 않겠는가.” 라고 하였다
 
풀이 :<경행록>에 이르기를 “동량의 재목을 얻으려면 나무를 길러야 하고,
관개(물 기르기)의 이로움을 얻으려면 물을 다스려야 하고,
충의로운 선비를 배출하려면 사람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이 배우지 않고서는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없으므로 잘 가르쳐서 인재를 배출하여야 한다.“
 
--------------------------------------------------------
 
自信者 人亦信之 吳越 皆兄弟
자신자   인역신지   오월   개형제
 
自疑者 人亦疑之 身外  皆敵國
자의자   인역의지    신외   개적국
 
자신을 믿는 사람은 남도 역시 믿으므로,
오월 일지라도 모두 형제같이 될 것이고,
자신을 의심하는 사람은 남도 역시 의심하므로,
자신 이외의 모든 사람이 적이 될 것이다.
 
--------------------------------------------------------
 
疑人莫用  用人勿疑
의인막용  용인물의
 
의심스러운 사람은 쓰지 말 것이며,
일단 사람을 썼으면 의심하지 말라.
 

--------------------------------------------------------
 
諷諫云   水抵魚天邊雁   高可射兮低可釣
풍간운   수저어천변안   고가사혜저가조
 
惟有人心咫尺間   咫尺人心不可料
유유인심지척간   지척인심불가료
 
<풍간>에 이르기를,
“ 물 속에는 물고기, 하늘가에는 기러기가 있으며,
높은 새는 활로 쏘고 물 속의 고기는 낚을 수가 있는데,
오직 사람의 마음은 가까이에 있어도 그 마음을 헤아릴 수 없다.” 하였다.
 
--------------------------------------------------------
 
畵虎畵皮難畵骨   知人知面不知心
화호화피난화골   지인지면부지심
 
호랑이를 그리되 가죽을 그릴 수는 있으나
 뼈를 그리기는 어렵고,
사람을 알되 얼굴은 알지만 마음은 알 수가 없다.
 
--------------------------------------------------------
 
對面共話   心隔天山
대면공화   심격선산
 
얼굴을 마주 대하고 이야기 하되
마음은 천 겹의 산처럼 멀리 거리가 있느니라.
 
--------------------------------------------------------
 
海枯終見底   人死不知心
해고종견저   인사부지심
 
바다는 물이 마르면 바닥을 볼 수 있으나,
사람은 죽어도 그 마음을 알 수가 없다.
 
--------------------------------------------------------
 
太公曰   凡人   不可逆相   海水   不可斗量
태공왈   범인   불가역상   해수   불가두량
 
태공이 말하기를, “무릇 사람은 그 미래를 미리 점칠 수 없는 것이요,
바닷물은 말(斗)로써 되질하여 헤아릴 수가 없다.”고 하였다.
 
-----------------------------------------------------
 
未歸三尺土  難保百年身  已歸三尺土  難保百年墳 
미귀삼척토  난보백년신  이귀삼척토  난보백년분
 
석 자 흙무덤으로 돌아가지 않고서는 백년 동안 몸을 보전하기가 어렵고,

이미 석자 무덤으로 돌아간 뒤에는 백년 동안 무덤을 보전하기 어렵다. ​ 

댓글운영정책
다음에 해당하는 내용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특정인의 개인정보(실명, 상호명, 사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를 포함한 글
  •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글
  • 상업적인 광고, 욕설, 음란한 표현 또는 반복적인 동일한 내용의 글
  •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동영상 등)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위배되는 글
댓글 운영정책에 어긋나는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등록 해보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