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련교육학 스킵네비게이션

태련쌤 자료실

[인문소양교육] 명심보감 -11. 성심편(省心篇) 상②
  • 작성자
    더쌤운영자(webm*****)
  • 작성일
    2015-09-25 10:38:55
  • 조회수
    1496

명심보감 – 11. 성심편(省心篇) 상②

--------------------------------------------------------
 
景行錄云   結怨於人   謂之種禍    捨善不爲   謂之自賊
경행록운   결원어인   위지종화    사선불위   위지자적
 
<경행록>에 이르기를, “남과 원수를 맺는 것은 재앙의 씨를 뿌리는 것을 말함이요,
선을 버리고 행하지 않음은 스스로를 해치는 것을 말함이다.” 하였다.
 
--------------------------------------------------------
 
若聽一面設   便見相離別
약청일면설   변견상이별
 
만약 한 쪽의 말만 들으면 곧 서로 이별을 당한다.
 
--------------------------------------------------------
 
飽暖思淫慾   飢寒發道心
포난사음욕   기한발도심
 
배부르고 따뜻하면 음욕이 생기고,  춥고 배고프면 도심이 일어난다.
 
--------------------------------------------------------
 
疏廣왈   賢而多財    則損其志  愚而多財  則益其過
소광왈   현이다재    즉손기지  우이다재  즉익기과
 
소광이 말하기를, “어진사람이 재물이 많으면 지조가 손상되고,
어리석은 사람이 재물이 많으면 과실이 많게 된다.”고 하였다.
 
--------------------------------------------------------
 
人貧之短   福之心靈
인빈지단   복지심령
 
사람은 가난하면 지혜도 짧아지고,   복이 이르면 아믕이 신통해진다.
 
--------------------------------------------------------
 
不經一事   不長一智
불경일사   부장일지
 
한 가지 일을 겪지 않으면 한 가지 지혜가 자라지 않는다.
 
--------------------------------------------------------
 
是非終日有  不聽自然無
시비종일유  불청자연무
 
하루 종일 시비가 있더라고 듣지 않으면 저절로 없어진다.
 
--------------------------------------------------------
 
來設是非者    便是是非人
래설시비자    편시시비인
 
찾아와서 옳다 그르다 하는 자가 바로 곧 시비하는 사람이다.
 
--------------------------------------------------------
 
擊壤時云  平生不作皺眉事   世上應無切齒人
격양시운  평생부작추미사   세상응무절치인
 
大名豈有鐫頑石   路上行人口勝碑
대명기유전완석   노상행인구승비
 
<격양시>에 이르길, “평생 동안 눈썹 찡그리는 일을 하지 않으면
세상에 나에게 이를 가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찌 돌에 이름을 새길 필요가 있겠는가?
오가는 사람들의 입(칭송)이 비석보다 낫다.” 고 하였다.
 
--------------------------------------------------------
 
有麝自然香  何必當風立
유사자연향  하필당풍립
 
사향이 있으면 저절로 향기가 날 것인데,
어찌 꼭 바람을 막고 서서 풍겨야 한단 말인가.
 
--------------------------------------------------------
 
有福莫享盡   福盡身貧窮  有勢莫使盡   勢盡寃相逢
유복막향진   복진신빈궁  유세막사진   세진원상봉
 
 
福兮常自惜   勢兮常自恭   人生驕與恀  有始多無終
복혜상자석   세혜상자공   인생교여치  유시다무종
 
복이 있다고 다 누리지 마라.
복이 다하면 빈궁해진다.
권세가 있다고 다 부리지 마라.
권세가 다하면 원통한 사람과 만나게 된다.
 
복은 항상 스스로 아끼고
권세는 항상 스스로 삼가라.
인생에 있어 교만하고 사치하면
처음은 좋으나 끝은 좋지 못한 법이다.
 
--------------------------------------------------------
 
王參政四留銘曰  有有餘不盡之巧
왕참정사류명왈  유유여불진지교
 
以還造物   有有餘不盡之祿   以還朝廷
이환조물   유유여불진지록   이환조정
 
留有餘不盡之財   以還百姓
유유여부진지재   이환백성
 
留有餘不盡之福  以還子孫
유유여부진지복  이환자손
 
왕삼정이 <사류명>에서 말하기를
“여유를 두어 재주를 다 쓰지 말고 남겨 두었다가 조물주에게 돌려주고,
여유를 두어 봉록을 다 쓰지 말고 남겨 두었다가 조정에 돌려주고,
여유를 두어 재물을 다 쓰지 말고 남겨 두었다가 백성에게 돌려주고,
여유를 두어 복을 다 누리지 말고 남겨 두었다가 자손에게 돌려주라.”고 하였다.
 
--------------------------------------------------------
 
黃金千兩 未爲貴  得人一語 勝千金
황금천냥 미위귀  득인일어 승천금
 
황금 천냥이 귀한 것이 아니요, 사람의 교훈되는 한 마디 말을 얻는 것이 천금보다 낫다.
 
--------------------------------------------------------
 
巧者拙之奴  苦者樂之母
교자졸지노  고자낙지모
 
재주 있는 사람은 재주 없는 사람의 종이 되고,  괴로움은 즐거움의 어머니이다.
 
--------------------------------------------------------
 
小船難堪重載  心逕不宜獨行
소선난감중재  심경불의독행
  
작은 배는 무거운 짐을 견디기 힘들고,  으슥한 길을 홀로 걷기에 좋지 않다.
 
--------------------------------------------------------
 
黃金未是貴  安樂値錢多
황금미시귀  안락치전다
 
황금이 귀한 것이 아니라,  편안하고 즐거움이 더 값이 많이 나간다.
 
--------------------------------------------------------
 
在家不會遼賓客   出外方知少主人
재가불회요빈객   출외방지소주인
 
집에 찾아온 손님을 대접할 줄 모르면 ,
밖에 나가서야 (맞아 줄) 주인이 비로소 적음을 알게 된다.
 
--------------------------------------------------------
 
貧居鬧市無相識    富住深山有遠親
빈거료시무상식    부주심산유원친
 
가난하게 살면 시끄러운 저잣거리에 살아도 서로 아는 이가 없고,
부유하면 깊은 산에 살아도 멀리서 찾아오는 친한 이가 있느니라.
  

--------------------------------------------------------
 
人義盡從賓處斷   世情便向有錢家
인의진종빈처단   세정편향유전가
 
사람의 의리는 다 가난한 데로부터 끊어지고,
세상의 인정은 곧 돈 있는 집으로 향하느니라.
 
--------------------------------------------------------
 
寧塞武低缸  難塞鼻下橫
영색무저항  난색비하횡
 
차라리 밑 빠진 항아리는 막을 수 있을지 언정,   코 밑에 가로 놓인 입은 막기가 어렵다.
( 사람의 입 막기가 어렵다는 뜻.)
 
--------------------------------------------------------
 
人情   皆爲窘中疎
인정  개위군중소
 
인정은 모두 궁핍(군색)하게 되면 소원해진다.(멀어진다)​ 

댓글운영정책
다음에 해당하는 내용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특정인의 개인정보(실명, 상호명, 사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를 포함한 글
  •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글
  • 상업적인 광고, 욕설, 음란한 표현 또는 반복적인 동일한 내용의 글
  •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동영상 등)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위배되는 글
댓글 운영정책에 어긋나는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을 등록 해보세요!
TOP